-
확률론에서 베이즈 정리(Bayes' Theorem)의 기본 개념과 활용practice_선형대수 2024. 10. 1. 18:22Q. 확률론에서 베이즈 정리(Bayes' Theorem)의 기본 개념과 활용 예시에 대해 설 명해 주세요.•주어진 사건의 조건 하에서 다른 사건의 확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.
•여러가지 용도가 있지만, 일반적으로 P(A|B)를 통해 P(B|A)를 추정할때 사용한다
전제조건이 P(A), P(B)를 알아야된다.
아래그림) P(A|B) = P(A given B) = B가 주어진 조건에 A를 구하는 확률
아래그림) 주사위 3이 나오면서 홀구인것은 1/6•일반적으로, P(A|B)와 P(B|A)는 같지 않다 -> 다른거로 바꾸기 위해 사용한다.•예시•코로나 검사 키트가 있다. 만약 실제 코로나에 걸린 사람이 이 키트를 사용하면, 90%의 확률로 양성이 나온다.•만약 어떤 사람이 이 검사를 해서 양성이 나왔다면, 이 사람이 90%의 확률로 코로나에 걸려 있다고 할 수 있을까?아래그림
•코로나 검사 키트는 실제로 코로나에 걸린 사람이 검사를 했을때 90%의 확률로 양성 판정을 내린다P(검사 양성 | 실제 코로나) => 90%•이때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, 검사 양성이 나왔을 때 이 사람이 실제 코로나에 걸려 있을 확률이다P(실제 코로나 | 검사 양성) => ?•P(검사 양성 | 실제 코로나) 는 이미 0.9 (90%) 로 알려져 있다•하지만 이를 통해 실제로 P(실제 코로나 | 검사 양성)을 계산하려면, 추가로 P(실제 코로나) 와 P(검사 양성) 의 확률들이 필요만약 우리가 이 확률들을 알고 있다면 계산할 수 있다•P(실제 코로나)는 코로나의 유병률이다•만약 우리가 (다른 경로를 통해) 전체 인구 중 대략 1%가 코로나에 걸려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, P(실제 코로나)는 1%이다.•P(검사 양성)은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다•첫번째는 실제로 코로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양성으로 판정될 확률•두번째는 코로나에 걸리지 않았지만 양성으로 판정될 확률•이 둘을 더하면 P(검사 양성)을 구할 수 있다•이에 추가로, 코로나에 안 걸린 사람이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올 확률을 10%라고 하자•결과적으로, P(검사 양성) = (90% × 1%) + (10% × 99%) = 10.8%아래그림
결론
만약 코로나에 안 걸렸는데 양성으로 (오진)할 확률을 현재 10%에서 1%로 줄인다면(보라색 아닌 파란부분)
현재의 90%에서 99%로 증가시키면, P(실제 코로나 | 검사 양성)이 47.6%로 크게 향상된다'practice_선형대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2.다중 공선성 (Multicollinearity) (0) 2024.10.04 12-1 행렬의 랭크(Rank)의 정의와 중요성 (1) 2024.10.03 9. 확률변수의 조건부 확률 (Conditional Probability)과 독립성 (Independence), 결합확률 (0) 2024.10.01 8. 주성분 분석 (Principal Component Analysis): 차원 축소, 설명된 분산 (2) 2024.09.30 7.확률분포 (0) 2024.09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