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실버5 반지_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555파이썬 2024. 11. 16. 10:48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555
-
2. 리스트, 스택, 큐, 셋, 딕셔너리practice_자료구조 2024. 10. 25. 08:15
리스트(List), 스택(Stack), 큐(Queue), 셋(Set), 딕셔너리(Dictionary)는 파이썬을 비롯한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. 각 데이터 구조의 특징과 사용 예를 살펴보겠습니다.1. 리스트(List)정의: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시퀀스 데이터 구조입니다.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, 인덱스로 접근 가능합니다.특징:인덱스 기반으로 원소에 접근 가능 (0번 인덱스부터 시작)중복된 값을 허용크기가 가변적 (동적으로 크기가 변함)메서드 예시: append(), remove(), insert(), pop(), sort()예시: my_list = [1, 2, 3, 4, 5]my_list.append(6) # [1, 2, 3, 4, 5, 6]2. 스택..
-
20.activation, relu, sigmoidpractice_인공지능,머신러닝 2024. 10. 24. 11:47
4시간 더하면 한책끝나고6시간 더하면 끝남 퍼셉트론 뉴럴네트워크 (신경망)의 기본구성요소. 뇌의 뉴런을 본떠 만들었다. 활성화 함수 쓰는이유?-> 비선형함수를 모방하기 위해서선형변환은 아무리 여러번 해도 선형변환 하나로 취급할수 있기때문에 의미가 없다. 아래그림)chain rule 를 적용하면 기울기가 1/4보다 작거나 같은값 x 1/4 x 곱해져서 0.0000.... 아주작은값이 나와서 sigmoide에서는 gradient 가 소실된다. -> 그래서 relu함수를 쓴다. 아래그림) gradient 소실을 막기위해서 다른 ReLU, PreLu.. 같은 비선형함수(activation function)를 쓴다. 기타 activation 함수 활성화 함수의 역할:신경망에 비선형성을 부여하여, 선형 모델..
-
6-2. attentionpractice_인공지능,머신러닝 2024. 10. 22. 13:31
attention 은 rnn 으로 sequence 2 sequence에서 bottle neck problem(시간관계없고, 어떤문장이든 길어지던간에 고정길이 ht에 정장한다.) 을 해결하기 위해 나옴data의 어떤 부분에 집중 attention해서 출력을 계산해야할지 자동으로 학습하는기법장점: 중요한부분에 집중해서 계산(마지막 ht만 본게 아니라 여러 h를 보면서 그중 어디 집중할지 보니,정보손실이 없다) bottle nectk problem: final ht에 너무 많은 정보를 넣어서 병목현상문제 발생 해결점 -> attention mechanisam입력문제를 다 보지 않고 집중해서 몇몇만 봄 attention -> 입력값, 출력값을 잘 나열 -> alignment로 부름 (without sup..
-
6-1. Rnnpractice_인공지능,머신러닝 2024. 10. 22. 12:43
RNN 개념sequence 를 모델링 할수 있는 neural network 개념 장점: 길이가 10 -> 50 문장 변동될때 가변길이 sequence를 모델링할수있다.10-> 10, 50-> 10 but CNN은 어려움cnn은 입력되는 이미지 크기가 달라지면 출력되는 이미지 크기도 달라짐 예) 출력되는 hidden vector 가 같다.문장길이에 상관없이 고정되는 hidden vector -> 마지막 ht 사용해서 입력되는 문장의 길이가 상관없다. 단점: gradient vasnishing, exploding, longterm dependency극복방안: LSTM(long short term memory)cell state를 추가, cell gate -> gradient vaninshing..
-
선형회귀, 분류 차이점practice_인공지능,머신러닝 2024. 10. 19. 13:45
선형 회귀(Linear Regression)와 이진 분류(Binary Classification)는 모두 머신러닝의 중요한 개념이지만,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과 목표가 다릅니다. 아래에서 그 차이를 설명해드릴게요. 선형회귀선으로 추세선을 그음선형 회귀(Linear Regression)와 이진 분류(Binary Classification)는 모두 머신러닝의 중요한 개념이지만,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과 목표가 다릅니다. 아래에서 그 차이를 설명해드릴게요. 선형 회귀(linear regression)는 종속 변수(예: 가격, 수익)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(예: 시간, 광고비) 간의 관계를 직선의 형태로 모델링하는 통계적 방법입니다 선형회귀 선으로 추세선을 그음 양극단에 있는 부모 아래에서, 똑같이 극단적인 자..